![](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lhcC/btsL2otvjBq/6wm67tikd1sXXsH9QveIKk/img.png)
최근 평소와 같이 유튜브를 무의식적으로 보다 “하기 싫은 일 일수록 더 집요하게 하면 벌어지는 일”이라는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영상을 보고난 후 기존에 머릿속에 어렴풋이 맴돌던 궁금증들에 대한 퍼즐이 맞춰지면서 감정이 고양되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궁금증을 해소한 내용들에 대해 공유해보려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가 하기 싫은 일을 할 경우 의지력이 강화됩니다. 그 이유는 우리 뇌에서 인지적 제어와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전측 중대상피질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게된 상세한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기 싫은 일을 할 때,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https://www.youtube.com/watch?v=nDLb8_wgX50해당 영상은 미국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7eXK/btsLSnWt2td/yPd8KDpcX1D1cir8tGpgok/img.png)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특정 비즈니스 로직들(알림 등)로 인해 핵심 비즈니스 로직의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거나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이런 문제들을 해결 하기 위해 리서치를 진행하여 @TransactionEventlistener라는 기술을 알게 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부가 비즈니스 로직들로 인한 문제가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었다.그러나, '기술에 대한 히스토리를 알지 못한 상태로 도입했다.'라는 생각이 들어 오늘은 Spring에서 제공하는 Event 처리 방식에 대해 기본부터 알아보고자 한다.EventListenerSpring에서 Event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요소는 @EventListener 어노테이션이다.@EventList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sTJA/btsLrYvQUj2/jkHPAT4mCMOZ8QT30Se570/img.png)
최근 제목과 같이 글을 쓰는 것을 굉장히 어려워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약 3주 동안 글을 기획하고 일부 내용을 작성하다가 지우기를 반복했다.. 이쯤 되니 도대체 왜 글을 쓰는 행위가 이전보다 어려워졌는지 궁금해졌다. 요즘 글쓰기가 어려워진 이유는? 1. 목적에 대한 집착으로 실행 부재처음 블로그를 시작한 계기는 “개발과 관련된 개선 또는 해결 사항을 남김으로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자.” 였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계기가 자꾸 발목을 잡게되었다. “이 내용이 과연 독자에게 어떤 도움이 될까?”, “내용의 퀄리티가 너무 낮은 같은데..” 등과 같은 이유를 들면서 결과물은 내지 않고 글을 덮어버리기를 반복했다. 2. 비축한 콘텐츠 부재회사 업무에 과도하게 몰두하여 개인적인 성..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i7qK/btsKDAa4RuO/DON2V9ASZfKZgXg1Fzb7t0/img.jpg)
오늘은 제가 젊지 않은 나이에 어떠한 생각으로 개발자로 직무를 전환했는지, 개발자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은 했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기록을 남겨 보려합니다. 1. 개발자가 되기 전2010 ~ 2011년 전기공학과(자퇴)2011 ~ 2013년 군복무2013 ~ 2015년 패션전문학교(졸업)2015 ~ 2016년 디자이너2016 ~ 2021년 패션 MD2021 ~ 2022년 온라인 MD개발자가 되기 이전 과정을 간력하게 정리해보면 위와 같다. 이렇게 나열해보니 "평이한 과정이었나?"라는 생각이 우선들었다.그러나 돌이켜보면 과정은 평이하지 않았다. 젊은 나이에 운이 좋게 빠른 승진으로 관리자가 되었으나 경험 부족으로 제대로된 역할을 못했으며, 일로 인한 번아웃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방에 박혀있기도 했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UWE5U/btsJ3YKtapc/VLa7RcK0ZZBkpmK2kSECz0/img.png)
1. 개요현재 참여중인 프로젝트에서는 백엔드 애플리케이션간의 HTTP 통신을 위해 Spring Cloud OpenFeig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제가 담당하는 업무에서는 직접적으로 다뤄볼 일이 없었으나, 최근 새로 배정 받은 업무로 인해 Feign을 제대로 사용해볼 기회가 생겼습니다. "이 기회에 사용할 기술을 제대로 알고 사용해보자."라는 취지로 공식문서에 기재된 기본적인 구성 정보들을 학습했으며,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학습을 통해 알게된 내용과 그 과정에서 발생한 궁금증을 해소하여 정리한 내용을 공유드리려 합니다. 2. Open FeignOpenFeign은 Java HTTP 클라이언트 작성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즉, Spring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가능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Ie81R/btsJEnKnMAv/3VEmBEmkzWVDUy9EubQkL0/img.png)
개요이번 글에서는 금년 8월 취득한 CKA 자격증 취득을 위해 준비한 과정과 시험 경험담 및 소소한 팁을 공유드리려 합니다. 저는 시험을 응시하기 이전 현업에서 쿠버네티스를 제대로 다뤄본 경험은 없었으나, 한 달간의 회사 수습기간 동안 과제 형식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해본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전반적인 학습보다는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수집하고 시험 중심의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참고했던 주요 인사이트1. Udemy Mumshad 강의CKA 한정 수학의 정석(?)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편리한 실습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예제와 학습 내용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시험 응시생들이 찾는 강의 입니다. 가격도 합리적이라 부담도 덜하며, 강의에 대한 번역도 적당히 이해가 될만한 수준이였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